육아공부

아이의 야경증 원인, 증상, 치료법 및 대처법

베베마망 2025. 3. 8. 22:52

 

야경증(Night Terrors)은 어린이에게서 흔히 발생하는 수면 장애의 하나로, 갑작스러운 극심한 공포와 함께 소리를 지르거나 몸을 격렬하게 움직이는 것이 특징입니다. 이는 일반적인 악몽과는 다르게, 아이가 깨어나지 않으며 다음 날 기억하지 못하는 경우가 많습니다.

 

 

야경증의 원인

야경증은 수면 주기의 이상으로 인해 발생하는 것으로 알려져 있습니다. 주로 비(非)렘수면(NREM) 3~4단계에서 발생하며, 신경계가 미성숙한 어린이들에게 자주 나타납니다.

1)수면 불규칙성
잠이 부족하거나, 수면 패턴이 일정하지 않을 때 발생 가능성이 높아짐.


2)스트레스 및 불안
아이가 낮 동안 강한 스트레스를 받거나 감정적으로 불안할 때 야경증이 발생할 확률이 증가함.


3)발열 및 질병
감기나 열이 날 때 야경증이 더 자주 나타남.


4)유전적 요인
부모 중 한 명이라도 야경증을 경험한 적이 있다면, 아이에게도 나타날 가능성이 높음.


5)과도한 피로
낮 동안 심하게 놀거나, 과하게 피곤할 경우 수면 중 각성 상태가 증가하여 야경증이 발생할 확률이 높아짐.

 

6)수면 환경 변화
여행, 이사, 새로운 환경 등으로 인해 수면 패턴이 바뀌면 야경증이 유발될 수 있음.

 

 

 

야경증의 주요 증상

야경증은 보통 잠든 후 1~3시간 내 깊은 비렘수면(NREM) 단계에서 발생하며, 다음과 같은 증상을 보입니다.

1) 대표적인 증상
  - 갑자기 비명을 지르거나 울부짖음
  - 몸부림을 치거나 침대에서 뛰쳐나옴
  - 빠른 심박수, 땀을 흘림
  - 공포에 질린 듯한 표정
  - 눈을 뜨고 있지만 의식이 없음
  - 말을 하거나 웅얼거리지만 대화가 불가능함
  - 보호자가 달래도 반응이 없음
  - 다음 날 야경증을 겪은 사실을 기억하지 못함

야경증 vs 악몽

 

 

 

 

야경증 치료법 및 대처법

야경증은 대부분 성장하면서 자연스럽게 사라지는 경향이 있습니다. 그러나 증상이 심하거나 빈도가 높다면 관리와 치료가 필요할 수 있습니다.

1) 가정에서 할 수 있는 대처 방법
✔ 아이를 억지로 깨우지 않기
  - 야경증 중 아이를 깨우면 더 혼란스러워할 수 있음.
  - 조용히 곁에서 지켜보며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중요함.


✔ 일정한 수면 습관 유지
  - 정해진 시간에 자고 일어나도록 유도.
  - 낮잠 시간을 너무 길게 하지 않기.


✔ 수면 환경 조성
  - 어둡고 조용한 환경에서 자도록 함.
  - 잠자기 전 스마트폰, TV 시청을 피하기.


✔ 낮 동안의 스트레스 해소
  - 규칙적인 신체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 완화.
  - 아이와 감정을 나누는 시간을 가지기.


✔ 야경증이 발생하는 시간 체크 후 예방적 깨우기
  - 야경증이 특정한 시간에 반복된다면, 그보다 15~30분 전에 살짝 깨워 수면 주기를 조정하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음.


✔ 카페인 및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
  - 초콜릿, 탄산음료, 과도한 설탕 섭취를 제한.


2) 병원 치료가 필요한 경우
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  - 야경증이 너무 자주 발생 (주 3~4회 이상)
  - 수면 중 심한 부상 위험이 있음 (침대에서 떨어지거나 물건을 던지는 경우)
  - 야경증이 10세 이후에도 지속됨
  - 낮 동안 심한 피로와 졸음이 지속됨
  - 수면무호흡증(코골이와 함께 숨이 막히는 증상)이 동반됨
    → 이런 경우 수면장애 클리닉 방문을 고려할 수 있음.



3) 부모가 알아야 할 핵심 사항
✔ 야경증은 아이에게 해롭거나 정신 질환과 관련된 것이 아님.

✔ 대개 성장하면서 자연스럽게 사라짐 (6~12세 사이 감소).

✔ 부모가 과도한 걱정을 할 필요는 없으며, 수면 습관을 조절하는 것이 중요함.

✔ 아이가 밤중에 혼란스러워할 때 차분하게 기다려주기.

 

반응형